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장곡사는 통일신라시대 850년(문성왕 12)에 보조선사가 창건한 후 여러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다.
이 절은 약간 경사진 땅 위에 2개의 대웅전이 있는 특이한 가람배치로 되어 있는데,
아래쪽에는 운학루·하대웅전( 보물 제181호)·요사체·주지실이 있고,
여기에서 돌계단을 50m 정도 올라가면 위쪽으로 상대웅전(보물 제162호)과 응진전이 있다.
상대웅전 안에는 통일신라시대의 철조약사불좌상부석조대좌(국보 제58호)와
철조비로자나불좌상부석조대좌(보물 제174호)가 나란히 봉안되어 있고,
하대웅전에는 고려시대의 금동약사불좌상(보물 제337호)이 있다.
장곡사 주차장에서바라본
운학루와 장곡사 전경
하대웅전에서본 운학루
운학루에서 바라본 하대웅전(보물181호)
장곡사 설선당
하대웅전의 처마와 단청
하대웅전의 주춧돌
하대웅전에 모셔져있는주불인 금동약사여래불(보물337호)
국보승격 신청중
장곡사 지장전
상대웅전(보물162호)
상대웅전 옆 장곡사 응진전
장곡사 상대웅전 내부 모습
자리를 비운 장곡사 상대웅전의 철조아미타불좌상과 좌대
상대웅전의 금불사모습인 아미타불좌상
자리비운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좌대
금불사한 비로자나불좌상(보물174호)
금불사한 약사여래불좌상(국보58호)
벌레들이 침범한 소나무
장곡사 삼성각
삼성각에서 바라본 장곡사 전경
찢어진 대북
범종
통나무그릇 밥통이라하네요
운학루에서 본 장곡사 전경
장곡사 설선당의부엌
운학루 밑게단에서 본 하대웅전 모습
장곡사 일주문
장곡사를 끝으로 오늘 충남 삼사순례를 마치면서
수많은 유물을 간직한 천년고찰 장곡사에서
나의 욕심이 사라지지않네요
먼길 달려와 부처님전에 기도하고 떠나는 마음이 가볍지못함은 아직
욕심이 많은가봐요.
많은 수행으로 가짐의마음을 놓아보려합니다.
'사찰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불교 조계종16교구본사 고운사를 가다. (0) | 2014.07.28 |
---|---|
창녕삼사 순례 (0) | 2014.07.19 |
충남지역 삼사 순례 간월암 (0) | 2014.07.16 |
충남의삼사순례길 용봉사 (0) | 2014.07.12 |
청학이 날아와 앉은 명당 대한불교 조계종 청곡사 순례 (0) | 201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