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단산으로 더 유명한 산, 정병산 *
지금은 정병산이라 불리우고 있지만 원래는 전단산이라 하였다.
진경대사 보월능공탑비문에 의하면, 신라시대 진경대사가 강원도 명주에 있다가
김해 서편에 복림이 있다는 말을 듣고 홀연히 그곳을 떠나 진례에 도달하여 절을 세우고 봉림이라 고쳐 불렀다 한다.
고대에 있어서 "림"자가 들어가는 지명은 길지라 하였는데,
통일신라 말기에 구산선문의 하나인 봉림사와 이에 소속된 많은 사찰이 건립되어 불교가 성하게 되었고
그리하여 고려시대 이후에는 전단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마야부인이 전단향나무로 만든 평상위에서 석가모니를 잉태하는 꿈을 꾸었다하여
전단은 불교와 관련이 깊으며 불교 요람의 산을 전단산이라 한 것이다.
정병산은 창원의 북쪽을 병풍처럼 길게 둘러싸고 있으나
마금산온천에 위치한 백월산쪽에서 보면 마치 첨탑과 같이 뾰족하게 솟아있다.
또한 전설에는 산세를 소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즉 소가 북쪽을 향하여 발을 뻗고 누워있는 형세를 취하고 있어서 산의 북쪽에 물이 많이 난다고 하였는데,
우곡사 근처에서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정병산으로 나서는 창원의 길
한적한 휴일 아침풍경임.
송광사 말사인 도심속 대중의 안식처 길상사
1층 무량수전:아미타불을 봉안
2층 천불전으로 구성되어있음
길상사는 어간문에서는 아미타불이 보이지않고
불상은 동쪽으로 바라보고있음.
무더위에 지친몸 한컷
저멀리보이는 정병산 정상부
한마리 봉황이 내려 앉은 모습
지나온 정병산 능선 저멀리 비음산도 보이네요.
신록의 계절에 더욱 싱거러운 망개
뽀안 살결같은 부더러움이 날 반기네.
정병산 사자바위.
하늘을 배경으로 뽐내는 노송한그루.
정병산 정상석에서 인증샷.
정병산 명물인 사랑바위.
'산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고향 남쪽바다에있는 팔용산 (0) | 2015.06.26 |
---|---|
운해가 아름다운산 진안 구봉산 (0) | 2015.06.23 |
진해 천자봉과 시루봉 (0) | 2015.05.27 |
떠나는 봄을 따라 지리산 바래봉으로~~ (0) | 2015.05.18 |
국립공원 제3호 아침을 여는 계룡산을 가다. (0) | 2015.04.13 |